집에서는 무선 공유기가 있기 때문에 내 노트북, 준오 노트북, NDSL, 아이폰 모두 공유해서 Wi-Fi 망을 사용하고 있다. 때문에 아이폰을 사용하는데 데이터 요금이 크게 두렵지 않았다. 헌데.. 회사에 오니.. Wi-Fi 망이 없다. @ㅅ@ 원래 각 층에 설치를 해뒀는데 지난번 이사 때 모두 가져가 버렸는지 원래 우리층에 있어야 할 녀석들이 없다. 왜.. 우리층은 다 놓고 왔는데 너네는 가져가냐~~ TㅅT 암튼.. 그래서 현재 무선 인터넷을 사용할 수 없다. 간혹 아래층에 있는 AP가 잡히거나 옆 건물의 것이 잡히기는 하는데 날에 따라 불안정하다. 오늘은 비가 왔는데, 날씨 좋으면 더 많은 AP가 잡히는 듯..

그러다 궁금증이 생겼다. 내가 노트북을 사용하는데 이 노트북의 Wi-Fi를 이용해서 주변의 무선 단말 끼리 연결이 안될까?? 인터넷이라는 것이 컴퓨터 간 네트웍을 통해 이리저리 패킷이 움직이는 것이니 무선이라고 해서 유선과 크게 다를게 없어 보였다.
그래서 바로 검색!! 오홋!! 손쉽게 금방 발견!! ㅋㅋ 방법은 간단하다. 외부 인터넷망을 노트북이 받아서 무선으로 공유해 주면 된다. 공유해 주는 무선 네트웍망만 생성해서 아이폰과 같은 단말이 접속하기만 하면 된다. 전체 그림은 아래와 같다. 원래는 위와 같이 무선 IP 공유기와 같이 전용 AP가 무선 네트웍을 생성해서 접속할 수 있게 하지만 그것을 아래처럼 노트북이 대신하는 것이다.

자.. 그럼 무선 네트웍 망을 만들어 보자. 스크린 샷은 Windows 7이며, Windows Vista도 크게 다르지 않다. 윈도 XP 스크린샷을 찍고 싶었으나 주변에 그런만한게 없어서.. 우선, 현재 연결된 "인터넷 엑세스"의 "네트워크 및 공유센터"를 열자. 아래와 같이 제어판에서 "네트워크 및 공유센터"를 선택하거나,

오른쪽 하단의 시계 옆에 있는 시스템 트레이 아이콘 중에서 "인터넷 엑세스"라고 되어 있는 녀석을 누르면 "네트워크 및 공유센터 열기" 버튼을 누르면 된다.

그러면 다음과 같이 "네트워크 및 공유 센터" 창이 열린다.

화면 중간 쯤에 있는 "새 연결 또는 네트워크 설정"을 클릭하자. 그러면 아래와 같이 추가할 네트웍을 선택할 수 있는 창이 열린다. 이 목록 중 가장 아래에 있는 "무선 애드혹(컴퓨터 대 컴퓨터) 네트워크를 설정합니다."를 선택하고 다음 버튼을 클릭한다.


원하는 이름과 보안 종류를 선택하고 보안키를 입력한다. 네트워크 이름은 아이폰 등에서 보이는 AP의 이름이고, 보안키는 이 네트웍에 접속할 때 입력할 비밀번호이다. 보안 종류는 "WEP"이나 "인증안함"으로 선택해야 아이폰에서 접속이 된다. 왜 인지까지는 =ㅅ=;;; 아이폰이 WPA2를 지원 안 하는지.. 글쎄~~
그리고 보안 키는 아래 경고에 써있는 것처럼 5자리 또른 13자리로 입력해야 한다.

자.. 이제 애드혹(ad-hoc) 네트웍이 생성됐다. 이 네트웍으로 접속하면 노트북과 서로 자료 등의 공유가 가능하다. 이제 이 무선 네트웍에 외부 인터넷을 공유해 줄지 아닐지 결정하자. 맨 위의 그림처럼 이 네트웍과 외부 인터넷망과의 사이에는 노트북이 있다. 때문에 노트북이 외부 인터넷 연결을 공유해 주지 않으면 노트북에 접속한 아이폰에서는 인터넷 사용이 불가능 하다. 아래의 "인터넷 연결 공유 켜기" 버튼을 눌러서 공유해 주면 된다.

자.. 이제 노트북에서 생성할 무선 네트웍은 구축이 됐다. 그럼 아이폰에서 이 네트웍에 접속해 보자. 아이폰 메뉴에서 "설정" -> "Wi-Fi"로 들어가면 아까와는 달리 노트북에서 생성한 "Sigel's laptop"이라는 애드혹 네트웍이 있다.

조금 전에 입력한 보안키를 입력하고 네트웍에 접속하자.

자.. 이제 노트북을 켜놓고 마음껏 Wi-Fi를 공유해서 사용해봅세~~ (중요한 점은 노트북이 항상 켜져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무선 AP를 항상 켜두듯이.. 노트북을 끄면 인터넷 망과 아이폰을 연결해 줄 중간 다리가 없어져 네트웍이 끊어진다.)


그러다 궁금증이 생겼다. 내가 노트북을 사용하는데 이 노트북의 Wi-Fi를 이용해서 주변의 무선 단말 끼리 연결이 안될까?? 인터넷이라는 것이 컴퓨터 간 네트웍을 통해 이리저리 패킷이 움직이는 것이니 무선이라고 해서 유선과 크게 다를게 없어 보였다.
그래서 바로 검색!! 오홋!! 손쉽게 금방 발견!! ㅋㅋ 방법은 간단하다. 외부 인터넷망을 노트북이 받아서 무선으로 공유해 주면 된다. 공유해 주는 무선 네트웍망만 생성해서 아이폰과 같은 단말이 접속하기만 하면 된다. 전체 그림은 아래와 같다. 원래는 위와 같이 무선 IP 공유기와 같이 전용 AP가 무선 네트웍을 생성해서 접속할 수 있게 하지만 그것을 아래처럼 노트북이 대신하는 것이다.

자.. 그럼 무선 네트웍 망을 만들어 보자. 스크린 샷은 Windows 7이며, Windows Vista도 크게 다르지 않다. 윈도 XP 스크린샷을 찍고 싶었으나 주변에 그런만한게 없어서.. 우선, 현재 연결된 "인터넷 엑세스"의 "네트워크 및 공유센터"를 열자. 아래와 같이 제어판에서 "네트워크 및 공유센터"를 선택하거나,

오른쪽 하단의 시계 옆에 있는 시스템 트레이 아이콘 중에서 "인터넷 엑세스"라고 되어 있는 녀석을 누르면 "네트워크 및 공유센터 열기" 버튼을 누르면 된다.

그러면 다음과 같이 "네트워크 및 공유 센터" 창이 열린다.

화면 중간 쯤에 있는 "새 연결 또는 네트워크 설정"을 클릭하자. 그러면 아래와 같이 추가할 네트웍을 선택할 수 있는 창이 열린다. 이 목록 중 가장 아래에 있는 "무선 애드혹(컴퓨터 대 컴퓨터) 네트워크를 설정합니다."를 선택하고 다음 버튼을 클릭한다.


원하는 이름과 보안 종류를 선택하고 보안키를 입력한다. 네트워크 이름은 아이폰 등에서 보이는 AP의 이름이고, 보안키는 이 네트웍에 접속할 때 입력할 비밀번호이다. 보안 종류는 "WEP"이나 "인증안함"으로 선택해야 아이폰에서 접속이 된다. 왜 인지까지는 =ㅅ=;;; 아이폰이 WPA2를 지원 안 하는지.. 글쎄~~
그리고 보안 키는 아래 경고에 써있는 것처럼 5자리 또른 13자리로 입력해야 한다.

자.. 이제 애드혹(ad-hoc) 네트웍이 생성됐다. 이 네트웍으로 접속하면 노트북과 서로 자료 등의 공유가 가능하다. 이제 이 무선 네트웍에 외부 인터넷을 공유해 줄지 아닐지 결정하자. 맨 위의 그림처럼 이 네트웍과 외부 인터넷망과의 사이에는 노트북이 있다. 때문에 노트북이 외부 인터넷 연결을 공유해 주지 않으면 노트북에 접속한 아이폰에서는 인터넷 사용이 불가능 하다. 아래의 "인터넷 연결 공유 켜기" 버튼을 눌러서 공유해 주면 된다.

자.. 이제 노트북에서 생성할 무선 네트웍은 구축이 됐다. 그럼 아이폰에서 이 네트웍에 접속해 보자. 아이폰 메뉴에서 "설정" -> "Wi-Fi"로 들어가면 아까와는 달리 노트북에서 생성한 "Sigel's laptop"이라는 애드혹 네트웍이 있다.

조금 전에 입력한 보안키를 입력하고 네트웍에 접속하자.

자.. 이제 노트북을 켜놓고 마음껏 Wi-Fi를 공유해서 사용해봅세~~ (중요한 점은 노트북이 항상 켜져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무선 AP를 항상 켜두듯이.. 노트북을 끄면 인터넷 망과 아이폰을 연결해 줄 중간 다리가 없어져 네트웍이 끊어진다.)

덧글
7번째 그림(9미터 반경 어쩌구 하는 그림)에 써있는 것 처럼
"무선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 이 네트워크를 설정하면 연결이 끊어집니다."
노트북의 Wi-Fi를 애드혹 네트웍에 연결하는 것이라 다른 네트웍에는 동시에 연결되지 않습니다. TㅅT
http://blog.daum.net/obk2030/15003804
XP 설정은 좀 어렵게 되어 있더군요. 내용은 동일합니다. 인터넷 들어오는 연결에서 인터넷 공유하고 무선 네트웍을 Ad-hoc으로 설정하는 것.. 참~ 쉽죠잉~~ ㅋㅋ
잘되고 있구요. 그런데 guest 쪽 pc 에서 연결은 되는뎅. 인터넷이 안되네요. 좀더 찾아보고 있어요^^;;
인터넷에 연결된 컴터에서.. 5번째 그림("네트워크 및 공유 센터" 창)에서 오른쪽에 있는 "로컬 영역 연결"(인터넷이 연결된 연결)을 클릭하시면 창이 하나 뜹니다. 그 창 아래에 있는 "속성" 버튼을 클릭하시면 "연결 속성" 창이 하나 더 뜨는데, 그 창에서 "공유" 탭을 클릭하시고 첫번째 항목("다른 네트워크 사용자가 이 컴퓨터의 인터넷 연결을 통해 연결할 수 있도록 허용") 체크를 하시면 인터넷 연결이 공유 됩니다.
말로 써놔서 아실 수 있을런지.. ㅋㅋ
인터넷 공유 켜기 버튼을 눌러도 인터넷에 연결이 안되는데 어떻게하죠?
도움이 못 되어 드려서 죄송하네요 TㅅT
어떻게하죠?
음.. 그 증상을 직접 볼 수 없어서 어떤 상태인지 알 수 없어 뭐라 답변 드리기 힘드네요 TㅅT
저도 비슷한 상태를 만들어서 시도해 보는 수 밖에 없어서 TㅅT
아이폰의 WiFi를 끄시고 노트북도 재시작하여 애드혹을 새로 생성해서 접속해 보시면 어떨까요?? 네트웍을 새로 구성해보면 연결이 될 것 같기도.. 헤헤..;;;
마지막 과정에서 인터넷 공유 연결 켜기 라는게 안나와요..
어떻게 해야 하나요;;ㅠㅠ
갑자기 ip주소가 169로 시작되네요
네트워크재설정및 애드훅을 다 지웠다가 다시 했는데도 안되네요 ㅜㅜ
어떻게 해야하나요?? ㅜㅜ
아마도 애드혹 설정이 잘못 남아있는 것이 아닐럴지요.. 애드혹은 근거리에서 임시로 생성하는 네트웍이기 때문에 기존에 사용하던 설정이 잘못 남아 있으면 그런게 아닐까 생각되네요.. 아마도 핸드폰에 기존 사용하던 설정이 남아 있는데, 노트북을 켰을 때 그 네트웍에 제대로 접속을 하지 못 한게 아닐까 싶네요.. 추측일 뿐이라 확답을 드리지 못 하겠네요 TㅅT
노트북에 잡히는 무선랜신호가있는데 핸드폰에서 안잡혀요
집에서쓰는 공유기인데 잘되다가 갑자기 핸드폰에서 안잡히네요ㅠㅠ
노트북에서는 신호 매우강함으로 나오는데ㅠㅠ
노트북에서 잡은 무선랜을 핸드폰으로 공유할수있는 방법은없나요??
위에써있는 방법은 유선노트북에서 ap 태더링이 맞죠?ㅠㅠ
무선랜을 받아서 태더링을 쏠수있는 방법은 없나요?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 미칠거같아요
집에 인터넷을 신청하세요. 다른 사람이 열어놓은 무선 AP를 사용하면 보안 문제도 있어 안 좋습니다. 내가 쓴 비밀번호를 남들이 볼 수 있는 경우도 많습니다.
그런데 위와 같이 설정을 해 놓은 노트북을 다시 집으로 가져갔을 때, 무선 네트워크를 자동으로 잡아 주나요? 아무래도 다시 설정을 해주어야겠죠?